라벨이 실수령액인 게시물 표시

연봉 3000만원, 실제로 손에 쥐는 돈은 얼마일까?

이미지
연봉에서 세금과 4대 보험을 제하면 실제로 받는 금액은 꽤 줄어듭니다. 복잡한 계산기 없이도 대략적인 실수령액을 빠르게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없이 손쉽게 계산하는 방법    입사 제안을 받을 때 ‘연봉 3,200만 원’이라는 숫자에 혹했지만, 정작 월급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그보다 훨씬 적습니다. “왜 이렇게 적지?” 싶은 마음, 누구나 경험했을 겁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세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등이 연봉에서 공제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매번 복잡한 계산기를 돌리기엔 번거롭고 귀찮죠. 이번 글에서는 계산기 없이 손쉽게 실수령액을 추정하는 방법 을 알려드립니다.   1. 기본 개념부터 정리: 연봉 ≠ 실수령액 우선 헷갈리지 말아야 할 점부터 정리합니다. 연봉 : 세전 수입 (회사에서 계약 시 제시하는 연간 총급여) 실수령액 : 세후 수입 (각종 세금 및 보험료를 제외한 실제 받는 금액) 📌 보통 연봉의 약 75~78% 수준 이 실수령액입니다. 👉 즉, 연봉 3,000만 원이면 월 약 190만~195만 원 전후가 실수령액   2. 계산기 없이 빠르게 계산하는 법 (월 기준) 다음 방식으로 대략 계산이 가능합니다: 💡 연봉 × 0.76 ÷ 12 = 월 실수령액 (대략)   예시: 연봉 3,000만 원일 경우 → 3,000 × 0.76 = 2,280만 원 → 2,280 ÷ 12 = 190만 원 (월 실수령액)   연 봉(만원) 월 실수령...